NIW 본인 업적(경력, 이력) 작성
NIW 진행을 위해 업체나 변호사 컨택을 하게 되면 논문, 특허, 경력 등이 포함된 Resume를 보통 요청하게 됩니다. 해당 논문, 특허 인용수 그리고 Resume를 바탕으로 변호사 분들이 NIW 승인 가능성을 평가하게 되고요.
업체와 계약을 하게되면 제일 먼저 하게 되는 것이 보통 본인의 업적을 작성하는 것입니다.
어떤 업체는 논문, 특허, 이력서를 바탕으로 신청자의 contribution 작성을 위한 template을 제공하는 곳도 있습니다. 내용까지 충실하게 적어서 보내주시고 일부 내용만 신청자가 직접 수정하게 보내주는 업체도 있습니다. 그런가하면 해당 내용에 대해서는 거의 관여 안하시고 가이드 정도만 주시고 나중에 번역업체 통해서 번역만 한 체로 보내는 업체도 있습니다.
NIW의 승인을 받기 위해서는 three-prong test를 만족해야 하는데요. 이 세가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First prong: the foreign national's propose endeavor must have both substantial merit and national importance; second prong: the foreign national is well positioned to advance the proposed endeavor; and third prong: on balance, it would be beneficial to the United States to waive the job offer and labor certification requirements. If the foreign national meets these three elements, then the USCIS may approve the NIW as a matter of discretion.
위의 조건들을 만족하기 위해서 신청자가 작성하고 준비해야할 것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내가 주로 활동하는 분야/산업, 그 분야에서 나의 업무 요약, 그리고 주된 실적 (개발, 업무 내용 등)을 담습니다. 이건 쉽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학위 연구와 이후 회사에서 계속 유사하거나 동일한 분야에서 일을 하느냐도 중요한 부분이라 이것을 잘 작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Qualification에는 3개 정도의 contribution을 선정하고 그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작성합니다. 제가 아는 분은 20년 경력동안 했던 15개 정도의 project를 모두 작성한 경우도 있습니다. 거의 책 한 권이더라고요. 제 경우에는 석사 논문이나 특허가 없기 때문에 S사 재직시 개발 업무 중심으로 3개에 대한 내용을 작성했습니다.. 각 contribution에는 업무 시작, 종료일, 그 기간 동안의 주요 실적, 그리고 그 업무 및 분야의 중요성, 내가 가진 이 기술이 향후 미국에 어떤 이익이 될 지등을 작성하였습니다. 단, 회사에서의 일은 학교나 연구소와 달리 객과적으로 평가할 수있는 논문 같은 실적이 없다는게 큰 부담이었습니다. 회사 이익, 보안 자료 등은 외부로 나가면 안되는 것들이기 때문인데 제가 개발한 프로젝트 관련 뉴스 등을 구글에서 찾아서 상용화 된 모델들까지 포함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본인의 업적(contribution) 작성은 NIW 준비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했으며, 추천인 구하기 다음으로 시간이 많이 걸리는 일들 중 하나였습니다. 이런 내용들은 누가 작성해줄 수 없는 부분입니다. 다만 어떤 업체는 변호사님께서 정말 열정적이셔서 이런 본인의 업적 부분까지도 해당 분야/산업 내용을 구글링 하셔서 template을 보내주시기도 합니다.
NIW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추천인 선정, 추천서에 대해서도 다음에 posting하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이민'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2 NIW 변호사 비용 (0) | 2018.03.28 |
---|---|
미국이민 개요 및 EB2 취업이민 (0) | 2017.11.09 |